조회 수 8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창세기 1(12) 종류대로 창조된 식물

이재만, ACT뉴스 201312

 

  1.jpg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어, 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1:11,12).

 

물이 한 곳으로 모이며 드러난 뭍에 식물을 창조하시는 장면이다. 모두 하루 안에 일어났다. 여기서 식물을 세 가지로 구분을 하셨는데, , 채소, 과목이다. 이들은 후에 창조될 동물과 사람의 먹을 거리가 된다.

 

식물을 창조하실 때 세 번씩이나 등장하는 단어가 있는데 종류. 히브리원어로는 민(min)이란 단어인데 영어로는 kind로 번역되었다. 히브리어 원 뜻은 한계가 지어졌다(defined)’란 의미다. 더 정확한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성경의 다른 본문에서 찾아보는 것이 분명할 텐데 노아홍수 당시 동물들을 방주에 넣을 때 구체적으로 정의 한다.

 

새가 그 종류대로, 가축이 그 종류대로, 땅에 기는 모든 것이 그 종류대로 각기 둘씩 네게로 나아오리니 그 생명을 보존하게 하라”(6:20).

 

또한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 씨를 온 지면에 유전하게 하라”(7:3).

 

그러므로 방주에 동물들을 종류대로 넣는 목적은 씨를 유전케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종류란 단어는 생물학 책에 등장하는 용어는 아니다. 생물학 책에는 종(species)란 단어를 쓴다. 종이란 용어는 영국 사람인 죤 래이(John Ray, 1628-1705)가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이어 생물분류학의 아버지라고 하는 카룰로스 린내(스웨덴, 1707-1778)가 생물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시작하면서 정착되었다. 아직 유전법칙(1866)이 발견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모양을 통한 형태학적인 분류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1900년 초부터 유전법칙이 생물학계에 알려지면서 1900년도 초부터 종에 대한 정의에 수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는데, 오늘날에는 개체 사이에 교배가 가능한 무리를 지칭한다. 그러나 그 정의만큼 종이 명쾌히 구분 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모든 생물들에게 교배를 시도해봐야 하는 어려움도 있으며 어떤 경우는 외견상에는 차이가 있으나 교배를 하여 자손을 남기는 경우가 있고, 또 어떤 경우는 형태학적으로는 유사한 모양을 갖고 있는 듯 하면서 교배가 불가능 한 경우도 있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종에 대한 정의가 형태학적 특징에서 유전학적 한계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생물 분류학자들은 새로운 분류방식이 기존 방식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면 늑대, 카요티, 딩고, 개들은 염색체 숫자가 78개로 동일하며 서로 교배가 가능하다. 이들 각각은 기존의 분류방식으로는 개과라는 한 과에 속해있지만 각기 다른 종으로 분류되었었다. 그러나 새로운 분류방식으로는 모두 한 종으로 묶을 수 있다. 고양이과도 마찬가지다. 호랑이, 사자, 고양이 등은 기존에 각기 다른 종으로 분류되었지만 염색체 숫자도 38개로 동일하며 직접은 아니지만 자연교배로 유전자의 상호교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교배의 한계로 정했을 때 가장 가까운 것은 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생물분류학자들은 새로운 정의를 제안하고 어떤 자세를 취했을까? 모든 새로운 분류방법으로 다시 재편성했을까? 그렇지 않았다. 기존의 분류 방식을 그대로 놔두었다. 실제로 종 분류를 재편성하는 것은 만만한 일이 아니다. 먼저 새로운 방식에 대한 학자들의 동의, 이해, 교육 등이 이루어져야 하고, 기존 논문들도 다시 조정해야 한다. 여기까지 이루어졌다고 할지라도 각 동식물들의 염색체 숫자도 세어보아야 하고, 교배가 가능성도 실험해 보아야 한다. 아울러 새로운 분류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학자들에게 의무적인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이미 보편화된 기존 방식을 바꾼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상황은 오늘날 학문의 슬픈 상태다. 왜냐하면 대다수의 일반인들에게 여전히 혼돈을 주기 때문이다. 종의 기원에 대한 세미나를 할 때면 거의 빠지지 않고 라이거는 어떻게 된 거예요?”라는 질문이 등장하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교과서에는 종이라는 정의를 서로 교배가 가능하다고 적어놓았지만 분류학 차트에는 기존의 형태학적 분류를 그대로 남겨놓았기 때문이다.

 

봄이 되면 각 종류들의 꽃들이 피고, 벌과 나비가 온갖 꽃들을 누비면서 날아다닌다. 이들은 꽃들에 도달할 때마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꽃가루가 몸에 묻게 된다. 진달래, 개나리, 호박꽃그런데 벌과 나비의 몸에 각종 꽃가루가 묻어있어도 진달래 암술은 정확히 자신의 꽃가루와 반응한다. 나중에 보면 진달래꽃은 언제나 진달래를 낳고 개나리꽃은 개나리만을 낳는다. 그렇지만 같은 종류 안에서도 다양한 모습의 진달래와 개나리꽃을 볼 수 있다.

 

언젠가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지역에서 종의 기원에 대한 세미나를 할 때, 앞에 앉아계시던 한 권사님의 툭 던진 말씀이 장내를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말을 뭐 그렇게 길게 하는 거예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8 창세기 1장(7) 낮과 밤의 창조자 file honey 2014.07.21 703
537 창세기 1장(6) 빛과 광명 file honey 2014.07.21 806
536 창세기 1장(5) 빛 file honey 2014.07.21 736
535 창세기 1장(4) 간격이론이란? file honey 2014.07.20 698
534 창세기 1장(3) “땅은 형태가 없고” file honey 2014.07.20 637
533 창세기 1장(2)–1절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file honey 2014.07.20 648
532 창세기 1장(18) 하나님의 형상의 창조 file honey 2014.07.23 722
531 창세기 1장(17) 여섯째 날 육지 동물의 창조 file honey 2014.07.23 750
530 창세기 1장(16) 다섯째 날 물고기의 창조 file honey 2014.07.22 768
529 창세기 1장(15)다섯째 날 새의 창조 file honey 2014.07.22 699
528 창세기 1장(15) 하나님 형상의 인간 file honey 2014.06.02 759
527 창세기 1장(14) 징조의 기능으로서 광명체 file honey 2014.07.22 733
526 창세기 1장(14) 완벽하게 공학적인 기린 file honey 2014.06.02 786
525 창세기 1장(13) 충만하라 - 새들의 이동 file honey 2014.06.02 914
524 창세기 1장(13) 계절, 날, 해 그리고 징조 file honey 2014.07.22 668
» 창세기 1장(12) 종류대로 창조된 식물 file honey 2014.07.22 803
522 창세기 1장(12) 고래가 말하는 것 file honey 2014.05.29 869
521 창세기 1장(11) 외계인, 진화론 그리고 사람 honey 2014.05.29 672
520 창세기 1장(11) 바다와 뭍의 창조 file honey 2014.07.22 723
519 창세기 1장(10) “창세기가 한 편의 시라고?” file honey 2014.07.21 65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1 Next
/ 3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