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7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남제주 고대 발자국의 수수께끼- ①화석연대 논란
[문화일보 2005-06-16 17:41]
7000년 전 vs 1만4000년전 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 해안에서 사람 발자국 등 수천 점에 달하는 대규모 화석이 발견된 뒤 1년4 개월이 지났다.

지난해 2월6일 남제주군 해안가 일대에서 중기 구석기시대인 약 5만년 전 호모 사피엔스의 발자국 화석 100여점이 발견됐다는 문화재청의 발표 직후 학계 일각에서 연대(4000년 전 이후 형성)와 사람 발자국의 진위여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이를 둘러싼 논란이 본격화됐다.

지난해 10월 제주도에서 개최한 국제심포지엄에 참가한 외국의 전문가들로부터 ‘아시아에서 처음 발견된 선사시대 사람의 발자국 화석(또는 준화석)’이라고 공인받는 등 국내외에서 사람 발자국의 진위문제는 일단락됐다.

그러나 사람 발자국 화석 연대는 지난해 6월 문화재청이 한국지 질자원연구원에 의뢰한 결과가 최근 공개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 히 논란에 휩싸여 있다. 문화재청의 남제주군 발자국 화석형성시 기 발표를 계기로 다시 촉발된 연대문제에 관한 논란과 사람 발 자국 및 각종 동물 발자국 화석이 갖는 의미를 조명하는 글을 3 회에 걸쳐 게재한다.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이 지난 1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보고서 ‘남제주 해안 사람 발자국 화석 지질연대 측정’(총괄책임연구 원 박기화)을 토대로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 해안가에서 발견된 사람 발자국 화석의 서로 다른 두 가지 형성시기를 제시하면서 지난해 촉발된 연대문제에 대한 논란이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지질자원연구원측은 탄소 유기물로 측정한 가장 오래된 연령인 1 만5161~1만3513년 전보다 발자국 화석이 산출된 지층의 위와 아 래에 놓인 지층에서 광여기루미네선스(OSL) 측정법으로 구한 760 0~6800년 전 사이에 발자국 화석이 형성된 것으로 잠정적인 결론 을 내린 반면, 사계리 발자국 화석을 발견, 학계에 보고한 김정 률 한국교원대 교수는 ¹⁴C 측정법으로 구한 1만5161∼1만3513년 전 사이, 즉 약 1만4000년 전에 발자국 화석이 형성됐다고 보 는 게 합리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5만년 전 대 4000년 전’에서 ‘1만4000년 전 대 7000년 전 ’으로〓중기 구석기시대(5만년 전)의 것인가, 신석기시대 후기( 4000년 전)의 것인가로 대립하던 사람 발자국의 형성시기가 이번 지질연대 측정을 통해 ‘구석기시대 후기 또는 말기(1만4000년 전) 대 신석기 시대 전기(7000년 전)’로 연대 폭이 좁혀진 것은 진전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당초 발자국 화석의 생성시기를 5만년 전의 것으로 본 김정률 교 수의 추정이나 발자국 산지를 측정한 지질연대 자료도 없는 상태 에서 화석연대가 청동기시대(3000~2000년 전)까지 내려갈 수 있 다고 본 손영관 경상대 교수와 연구책임자인 박기화 박사, 강순석(제주화산연구소 연구원) 박사 등의 견해 모두 일단 지나친 비 약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연대 폭은 크게 좁혀졌지만 화석이 발견된 지층의 연대를 아무리 올려봐도 1만년 전 이전의 것으로 볼 수는 없다는 지질 자원연구원측 및 손 교수 등과 발자국 화석 산출지층에 대한 ¹ ⁴C 측정결과보다 더 정확한 것은 없다며 화석의 형성시기를 1만 4000년 전으로 보는 김 교수의 입장차는 크다.
 
국내외에서 구석기·신석기시대의 경계이자 지질학에서 현세(現 世·홀로세 또는 충적세라고도 함)가 시작하는 1만년 전 이전 또 는 이후가 갖는 의미와 상징성의 차이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지질자원연구원이 해석한 7000년 전이란 이유는〓지질자원연구 원의 보고서에는 총 25개의 시료를 ¹⁴C과 OSL, Ar―Ar법 등 3 가지 연대측정 방법을 동원해 얻은 결과가 제시돼 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A·B·C·D 4개의 층으로 구성된 사람 발자국 화석이 형성된 퇴적층의 경우 패각(조개껍데기)편 같은 화석이 산출되지 않아 각 층에서 휴믹(Humic)과 휴민(Humin)이란 미세 유기물 성분을 추출해 뉴질랜드의 지질핵과학연구소에서 가속기 질량분석기(AMS)로 꺪C 연대측정을 실시했다.
 
그 결과 휴민의 연령 값이 사람 발자국 화석이 형성된 A·B·C 지층 중 최하부 층인 C층은 1만5161±70년 전, B층은 1만3513±6 5년 전, 최상부 층인 A층은 1만901±60년 전으로 순차적으로 나 타나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설명됐다. 반면 휴믹은 최하부 층이 8098±50년 전 인데 비해, 최상부 층은 9289±90년 전으로 역전 된 연령체계를 보여줬다.
 
그러나 지질자원연구원측은 알칼리성 용액에 잘녹는 휴믹과 달리 산성 및 알칼리성 용액에 모두 강한 휴민은 여러차례 재순환 과 정을 거쳐도 없어지지 않고 새로운 퇴적층으로 재순환되는 성질 이 있어 발자국 화석이 형성된 지층의 퇴적 당시의 시기와는 다 소 차이(왜곡)가 있을 수 있다며 발자국 형성 지층의 상하부 사 질층(A·D층)에서 추출한 시료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서 OSL 법으로 측정해 얻은 7600±500~6800±300년 전 사이를 발자국 화 석의 형성시기로 해석했다.
 
사람 발자국 산출 지층과 주변 하모리층에서 채취한 18개의 시료 를 ¹⁴C으로 측정한 지질자원연구원측은 이 중 발자국 화석 덮 개돌에서 추출한 시료를 미국 크뤼거 엔터프라이즈사의 지질연대 실험실에 보내 얻은 6930±70년 전을 적정연대로 보았다.
 

◈김정률 교수가 주장하는 1만4000년 전이란 근거는〓김 교수는 지질자원연구원이 아무런 증거 없이 휴민의 ¹⁴C 연대를 왜곡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번에 지질자원연구원의 의뢰를 받은 뉴질랜드와 미국 연대측 정기관의 전문가들에게 문의한 결과 많은 학자들이 휴믹 보다 휴 민 성분의 ¹⁴C 측정 값을 신뢰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방법으로 측정한 자료 중에서 가장 오래된 (휴민)자료를 지질연대로 해석 할 것을 권고받았다는 것이다.
 
1만900년, 1만3500년, 1만5200년 전으로 체계적인 지질연대를 나 타내는 사람 발자국 화석이 형성된 연속적인 지층 A·B·C의 휴 민 성분 ¹⁴C 측정결과를 지질연대가 왜곡됐다고 해석하는 것은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김 교수는 말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연대측정에서 중요한 절차 중의 하나인 시료의 정확한 층서적 위치에 대한 설명도 불충분하다고 지적했다. 특 히 지난 2000년 측정 장비가 도입된 뒤 2003년쯤부터 연구결과를 내기 시작한 OSL 연대측정법이 온도·햇빛 등 환경변화에 민감 하게 영향을 받는 등 ¹⁴C 연대측정법에 비해 정밀도와 정확도 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도 불구하고 발자국 지층의 상· 하부에서 추출한 2개의 시료에 대한 OSL 자료를 가지고 발자국 화석 형성시기를 결론 지은 것은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또 김 교수는 이번 보고서에서 Ar―Ar법으로 용암류의 연대를 측 정한 결과와 해수면 변화에 대한 논문을 고려해 송악산 응회암의 지질연대를 1만년 전으로 추정한 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한편, 사계리 사람 발자국 화석 지층은 남제주군 지질도를 작성한 박기 화 박사 등이 이곳을 분류한 하모리층과는 지층의 특성과 형성시 기가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번 연구결과 사계리 발자국 화석지층이 하모리-송악산 지역의 4000년 전 이후 만들어진 것으로 주장돼온 하모리층보다 연대가 오래됐음이 사실로 확인됐다는 것이다.
 

◈남는 의문과 과제들〓김 교수의 주장대로 발자국 화석연대가 1 만4000년 전이란 주장이 설득력을 얻기 위해서는 당시 고환경과 관련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황해와 남해가 육지로 한·중·일이 하나로 연결돼 있었던 마지막 빙하기인 뷔름 빙기의 최성기(2만년 전·해수면이 현재보다 약 120m 낮음)와 지질학적으로 현재의 해수면과 같게된 1만년 전 사이에 위치한 1만4000년 전은 이번 보고서에 실린 해수면 변동 도로 추정해 볼 때 지금보다 해수면이 약 50m 이하로 내려갔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상황에서 사계리 발자국 화석 지층이 형성되기 위해선 해수 면을 포함 송악산 등 남제주 일대 지형이 50m 이상 융기했다는 증거가 필요하다. 물론 김 교수는 발자국 화석 지층을 다르게 보 지만 수성화산인 송악산의 분출로 형성된 하모리층의 생성연대를 손 교수와 지질자원연구원측이 아무리 올려봐도 7000년 전 이전 으로 소급하기는 어렵다고 보는 것도 이런 해수면 변동에 관한 연구결과 때문이다.
 
이번 지질자원연구원의 보고서가 사람 발자국 화석의 연대측정에 만 한정돼 지질과 지층에 대한 분석이 이뤄지지 못한 것도 아쉬 운 점이다. 학계는 이번에 제시된 절대연대들은 현 단계에서 잠 정적인 수치에 불과하다며 연대측정 자료의 지속적인 축적과 함 께 하모리층과 송악산 응회암 아래에 놓인 퇴적층 및 사계리 발 자국 화석 지층의 관계, 두께가 4~5m에 달하는 하모리층 각 층의 형 성시기에 대한 정밀한 분석, 동물 발자국 및 식물화석에 대한 검 토를 앞으로의 과제로 들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 2020년 12월 마지막 정기월례회 file 지명구 2020.12.16 127
50 창조과학 기본과정 안내(9월 23일 시작) file honey 2019.07.22 127
49 2023년 영크를 위한 랩 투어~~~(전창진교수 편) file 지명구 2023.07.06 126
48 창조과학 청소년캠프(7/14) 참가자모집 file honey 2018.06.06 123
47 대구선교역사 투어(근대골목) file 지명구 2022.08.31 116
46 2018년 9월 정기모임 안내(13일) file honey 2018.08.29 110
45 2023년 4월 정기특강 모임 - 과학이란 무엇인가? file 지명구 2023.03.31 108
44 2021년 대구지부 강사 워크샵 (제1회) file 지명구 2021.03.25 108
43 강사워크샵 일정 변경 안내 file 지명구 2021.06.21 107
42 창조과학 학술대회 자원봉사자 모집 honey 2018.04.19 107
41 2023년 8월 정기모임 안내 file 지명구 2023.08.02 104
40 서버영상 (거의)복구 honey 2019.01.04 100
39 6월 정기모임 안내 file honey 2019.06.13 99
38 어린이캠프 및 청소년캠프 일정표 file honey 2018.07.03 93
37 2022년 2월 정기특강 file 지명구 2022.02.11 89
36 기본과정 18기 모집 - 온라인 강의 file 지명구 2022.08.31 88
35 2021년 9월 정기특강 - 코로나19 바로 알기 file 지명구 2021.09.15 88
34 2024년 4월 정기특강 - 정성수교수 심장의 전기전달... 설계되었다 file 지명구 2024.03.26 84
33 2023년 1월 정기특강 - file 지명구 2022.12.30 84
32 창조과학캠프 자원봉사자 모집 honey 2018.06.06 84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