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방주 안에서 육식동물 다른 동물을 잡아먹지 않았을까?

이재만회장(지질학, 과학교육학). ACT뉴스 20156

 

  1.jpg


 

노아방주 안에는 모든 육지 동물들이 탑승했으므로 초식을 하는 사슴, 염소, 양뿐 아니라 사자나 늑대 같은 육식동물도 탔을 것이다. 그렇다면 방주 안에서 육식동물이 초식동물을 잡아먹지는 않았을까?

 

성경에서는 동물들이 창조될 때 땅의 모든 짐승과 하늘의 모든 새와 생명이 있어 땅에 기는 모든 것에게는 내가 모두 푸른 풀을 먹을거리로 주노라고 하셨다(1:30). 즉 처음에는 모든 동물들이 초식을 했다는 의미다. 그런데 오늘날은 잘 알다시피 사자나 늑대처럼 육식동물이 존재한다. 그러면 이런 육식동물들은 역사 가운데 언제 나타난 것일까?

 

 

2.jpg



 

 

동물을 다루기 전에 먼저 사람을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성경에는 사람이 육식을 하게 된 시점이 정확히 적혀있기 때문이다. 사람을 창조하신 후에 하나님께서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먹거리로 주셨다’(1:29). 그러니까 사람도 처음에는 채식만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홍수 심판이 끝난 다음에 방주에서 나온 노아에게 모든 산 동물은 너희의 먹을 것이 될지라” (9:3)고 하시며 육식을 허용하신다.

 

반면에 성경에서 동물에 대하여는 언제부터 육식이 가능했는지 분명한 언급이 없다. 그러므로 성경의 흐름을 통해 유추할 수밖에 없다. 성경은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과 새와 땅에 기는 모든 동물들이 종류대로 방주 안에 탔다고 말한다(7:8). 오늘날 보고 있는 육식과 초식동물이 모두 탔을 것이다. 그리고 홍수가 끝난 후에 이들 모두는 종류대로 방주 밖으로 나왔다(8:19). 즉 방주 안에서는 지금과 같이 동물끼리 잡아먹고 먹히는 험악한 상황이 아니었음을 엿볼 수 있다. 그러므로 동물도 사람과 같이 홍수 심판이 끝난 즉 방주에서 나온 이후에 육식을 하게 된 것으로 보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과학자들은 아직도 육식과 초식동물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잘 모른다. 실제로 육식동물의 대부분은 초식도 함께 하는 잡식이다. 아프리카에서 육식동물이 사냥을 하지 못할 경우 식물로부터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어렵지 않게 관찰된다. 심지어 육식동물이 초식만 할 경우에도 건강에 전혀 어려움 없이 살 수 있다. 그 한 예로 1900년 초 조오지 웨스트뷰(George Westbeau) 부부가 자신이 기르던 사자인 리틀 타이크(Little Tyke)에게 9년 동안 곡물과, 달걀, 우유만 먹였지만 건강에 전혀 문제가 없이 잘 자랐다. 더군다나 훈련도 잘 받아서 양이나 병아리를 보고도 식욕을 전혀 느끼지 않고 함께 놀기도 했다. 고기를 주어도 거절하는 사진이 보도되기도 했다. 단지 이런 예뿐 아니라 육식동물로 분류된 동물들에게 채식만을 먹였을 경우 생존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사람들은 이빨 등 동물의 모양을 보며 육식과 초식 동물을 구분하려 하지만 그리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다. 왜냐하면 초식 동물 가운데도 이빨이 뾰족한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박쥐 가운데 초식 박쥐가 있는데 이빨에서는 육식 박쥐와 차이점이 없다. 초식 동물인 판다 역시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을 갖고 있지만 이런 모습은 나무를 오르거나 나무껍질을 벗기는데 유용하다.

 

이빨이 날카롭게 된 것이 아담과 하와의 범죄 이후에 식물이 가시덤불과 엉겅퀴”(3:18)가 나오는 시점에 발생한 것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리고 홍수 심판이 있은 이후에 더 험악한 상황으로 변한 것이다.

성경에서는 예수님께서 회복하실 때 이리가 어린 양과 함께 살며 표범이 어린 염소와 함께 누우며, 송아지와 어린 사자와 살진 짐승이 함께 있어 어린 아기에게 끌리며, 암소와 곰이 함께 먹으며 그것들의 새끼가 함께 엎드리며 사자가 소처럼 풀을 먹을 것이며, 젖 먹는 아이가 독사의 구멍에서 장난하며 젖 뗀 어린 아이가 독사의 굴에 손을 넣을 것이라. 내 거룩한 산 모든 곳에서 해 됨도 없고 상함도 없을 것이라”(11:68)고 말한다.

 

성경은 지금의 동물들이 서로 잡아먹는 상황은 처음 창조 때의 모습이 아니라고 분명히 말한다. 또한 예수님께서 회복하실 그곳은 처음 창조하셨을 때 상황같이 육식동물이 없는 곳이라고 말한다. 다시 회복될 그곳이 기대되지 않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8 별들의 창조는 사실상 끝났다 file honey 2016.10.14 123
297 별들의 거리 측정–검증 가능한가? file honey 2018.09.07 66
296 별들의 거리 file honey 2014.06.08 699
295 방주의 지적설계 file honey 2014.07.19 552
294 방주를 통해 살펴 본 성경기록의 신뢰성 file honey 2014.06.09 831
» 방주 안에서 육식동물이 다른 동물을 잡아먹지 않았을까? file honey 2016.10.07 243
292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 연대측정법–Q&A(1) file honey 2018.09.12 48
291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 연대 측정법–Q&A(4) file honey 2018.09.25 126
290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 연대 측정법–Q&A(3) file honey 2018.09.25 56
289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 연대 측정법 – Q&A(2) file honey 2018.09.25 137
288 바벨탑?? 바벨탑!!! (8) 바벨탑 이후에도 공룡이 살았을까요? file honey 2014.06.03 673
287 바벨탑?? 바벨탑!!! (7) 흑인 부부가 백인 아이를 낳았다고요? file honey 2014.06.02 871
286 바벨탑?? 바벨탑!!! (6) 언어는 진화하는가? file honey 2014.06.02 818
285 바벨탑?? 바벨탑!!! (5) 말이 혼잡해진 전설들 file honey 2014.05.29 1290
284 바벨탑?? 바벨탑!!! (4) “불쑥”튀어 나온 문명들 file honey 2014.05.28 791
283 바벨탑?? 바벨탑!!! (3) 이집트가 먼저? 바벨탑이 먼저? file honey 2014.05.26 921
282 바벨탑?? 바벨탑!!! (2) 바벨탑은 어떻게 생겼을까? file honey 2014.05.24 730
281 바벨탑?? 바벨탑!!! (1) file honey 2014.05.23 792
280 바벨탑 사건을 보여주는 청동기 시대 인간의 DNA file honey 2016.10.13 191
279 바리온수(중입자) 보존과 반물질의 수수께끼 - 이동용박사 file honey 2019.04.27 232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31 Next
/ 3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