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창조, 종류대로(5) CValue Paradox

최우성, ACT뉴스 201411

 

  1.jpg


 

C-Value란 각 생물 종(species)에 따라 일정한(constant) 양의 DNA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서 나온 말이다. 그런데 아주 복잡하게 보이는 생명체의 DNA (C-Value)이 간단하게 보이는 생명체의 DNA (C-Value)보다 훨씬 적은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예를 들면, 간단한 생물의 대명사인 아메바(Amoeba dubia)는 사람보다 무려 200배 이상 더 많은 DNA를 가지고 있다. 이런 역설적으로 보이는 현상을 C-Value Paradox라고 한다. 왜 더 간단하게 보이는 생명체가 더 많은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일까?

 

진화론은 C-Value의 이유에 대해 이렇다 할 대답이 없다. 진화론은 생물들이 새로운 유전정보를 획득하여 진화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재 기독교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으며, 유전학을 전공한 옥스포드 대학교의 교수인 진화론자 리차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인터뷰 동영상을 보면 유전정보가 증가하는 일이 없다는 사실을 확신하게 될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9W4e4MwogLo). 한편, 증인이신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서 보면 C-Value의 이유에 대해 논리적이고 분명한 대답을 얻을 수 있다. 모든 생명체들은 종류대로창조되었고 여전히 같은 종류 안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진화라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한 종류의 생명체는 예나 지금이나 또 내일도 동일한 C-Value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제 C-Value Paradox에 대해 알아 보자. 왜 간단하게 보이는 생물이 더 많은 DNA를 가지고 있을까?

 

1970년대 초에 과학자들은 드디어 C-Value Paradox에 대한 이유를 알아냈다고 생각했다. 전체 유전정보 속에는 표현되는 정보(coding DNA)가 있고 표현되지 않는 정보(non-coding DNA)가 있는데 후자의 DNA 양이 많으면 생물체가 간단하게 보이지만 더 많은 DNA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전체 유전정보와 표현되는 정보(coding DNA)인 유전자(gene)의 수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사람의 전체 DNA 중에서 표현되는 유전정보는 약 2%에 불과하다. 사람의 경우 거의 모든 유전정보는 표현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아메바 유전정보는 어느 정도나 표현이 되는 것일까? 유전자가 몇 개나 될까? 아직 과학자들은 여기까지 연구할 여유가 없다.

 

최근에 과학자들은 C-Value Paradox 대신 C-Value Enigma라는 용어를 선호하고 있다. 역설(Paradox)은 설명할 수 없는 것이고 수수께끼(Enigma)는 과학이 발달하면 설명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표현되지 않는 DNA가 얼마나 되며, 어디서 와서 어떻게 퍼져 나가는지, DNA의 역할은 무엇일지, 왜 그만큼의 표현되지 않는 DNA를 가지고 있는지를 앞으로 다 알 수 있게 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역설대신 수수께끼라고 해야 된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어느 정도는 사실이지만 모른다는 말을 하기 싫어하는 과학자들의 속성도 포함되어 있음도 사실이다.

 

여기서 우리는 junk DNA란 용어를 떠올리게 된다. 표현되지 않는 DNA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을 때, 일부 진화론 과학자들은 그 DNA를 필요 없는 junk(쓰레기) DNA라고 불렀다. 진화 과정 중에는 필요했겠지만 지금은 필요가 없어진 부분이라고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사람의 맹장이나 꼬리뼈를 흔적기관이라고 했던 개념과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흔적기관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기능을 잘 모르는 기관이라고 부르듯이 이제 과학자들은 더 이상 junk DNA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실제로 수많은 유전적인 질병들이 이 표현되지 않는 junk DNA 이상으로 생겨 난다. 그 표현되지 않는 정보들은 다른 유전자들을 조절하거나 DNA 정보 자체를 보관하는 데도 사용 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종류대로 창조 된 생물체들에서 보여지는 C-Value Paradox에는 창조자의 놀라운 지혜와 헤아릴 수 없이 높은 수가 들어있는 것이다.

 

왜 표현되지 않는 유전정보들이 그렇게 많은가? 표현되는 유전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유전정보를 작은 공간에 잘 보존하기 위해서, 혹은 정보를 사용하기 좋은 위치에 두기 위해서 등 과학자들은 많은 가능성들을 상상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표현되고 있는 2%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인류가 그 질문에 답을 했다고 착각하는 것은 정도가 지나친 교만이다. 더 놀라운 기능이 거기에서 발견 될지도 모른다. 과학은 결코 모든 것을 알아낼 수 없다. 창조물들 속에는 이중 삼중의 목적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왜 더 간단하게 보이는 생명체가 더 많은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일까? 이것은 사실상 아직도 역설이다.

 

훗날 과학자들은 그 속에 들어 있는 창조자의 놀라운 지혜와 능력을 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고백 하게 될 것이다: “하나님이여 주의 생각이 내게 어찌 그리 보배로우신지요 그 수가 어찌 그리 많은지요?” (139: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8 수십억년의 지구나이와 배아줄기세포 file honey 2014.06.03 808
417 수십억 년의 나이가 나오기까지 숨어있는 이야기들 file honey 2018.02.01 121
416 손은 놀랍게 설계되고 제작된 선물이다 file honey 2018.09.26 115
415 셋째 날 – 물과 바다의 창조 file honey 2014.05.23 1063
414 세포 속에서 보이는 창조주 하나님 (9) 수 천 개의 열쇠들 file honey 2014.06.19 665
413 세포 속에서 보이는 창조주 하나님 (8) 세포 속의 고속도로 file honey 2014.06.19 639
412 세포 속에서 보이는 창조주 하나님 (6) DNA가 많으면 진화된 생명체일까? file honey 2014.06.17 738
411 세포 속에서 보이는 창조주 하나님 (6) DNA 정보가 실물로 file honey 2014.06.17 655
410 세포 속에서 보이는 창조주 하나님 (5) DNA 먼저, 단백질 먼저? file honey 2014.06.14 653
409 세포 속에서 보이는 창조주 하나님 (4) 생명체의 정보는 어디서 왔을까? file honey 2014.06.12 701
408 세포 속에서 보이는 창조주 하나님 (3) DNA가 생명인가? file honey 2014.06.12 744
407 세포 속에서 보이는 창조주 하나님 (2) 정보 체계-2 file honey 2014.06.12 607
406 세포 속에서 보이는 창조주 하나님 (10) 생명은 생명에서만 honey 2014.06.25 590
405 세포 속에서 보이는 창조주 하나님 (1) 하나님 형상의 정보 체계 비교 file honey 2014.06.11 683
404 세속적 과학자들이 공룡의 갑작스런 출현을 인정한다 file honey 2019.04.27 28
403 세계에서 가장 잘 보존된 노도사우르스의 비밀 file honey 2018.09.13 79
402 세계관전쟁 6 돌연변이가 진화의 동력인가?(2) 돌연변이의 종류 honey 2014.06.06 700
401 세계관 전쟁 9 사람: 꼬리없는원숭이에서 진화된 동물인가?(2) file honey 2014.06.08 1193
400 세계관 전쟁 8 사람: 꼬리없는원숭이에서 진화된 동물인가?(1) file honey 2014.06.07 739
399 세계관 전쟁 7 돌연변이가 진화의 동력인가?(3) 돌연변이에 대한 진화론과 성경의 견해 file honey 2014.06.07 784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31 Next
/ 3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