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7.21 18:34

진화 중인 핀치?

조회 수 8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진화 중인 핀치?

최우성, ACT뉴스 201310

 

  1.jpg


 

가장 권위 있는 과학지로 알려 진 Nature 20091116일 온라인판에 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드러내 주고 있는 다윈의 핀치라는 뉴스가 났었다. 이 기사의 소제목은 갈라파고스에서 신종 핀치가 계속 출현했을 것이라고 되어 있다. 2006년에는 가뭄으로 핀치 새의 부리가 짧아진 것이 진화의 증거라는 뉴스도 있었다. 과연 이것들이 진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을까?

 

프린스톤 대학교의 부부 교수인 피터와 로즈마리 그랜트(Peter and Rosemary Grant)는 진화생물학자들인데 거의 40년 동안 갈라파고스 제도의 작은 섬인 다프네(Daphne Major)에서 핀치새들을 관찰하고 있다. 이 조그마한 섬은 종의 기원을 집필했던 다윈(Charles Darwin)이 핀치새를 관찰하고 변이와 자연선택에 대한 주요 소재를 수집했던 바로 그 섬이기도 하다. 그랜트 부부도 이 섬에서 그 새들을 관찰한 결과들을 여러 차례 발표 하였다.

 

1981년 그랜트 부부는 수컷 핀치새 한 마리를 발견했다. 다프네 섬에 살고 있는 중간 크기의 부리를 가진 핀치(G. fortis)처럼 보였지만 다른 핀치에 비해 17%쯤 더 무거웠다. 유전자 분석을 해 보니 이웃 섬인 산타크루즈에서 날아온 것으로 보였다. 그랜트 부부는 이 새에 번호를 달아 놓고 7 세대 28년 동안 관찰을 하였다고 한다.

 

이 수컷 핀치는 다프네 섬의 핀치와 교배하여 새끼들을 낳았는데 그 자손들 중에 많은 새들은 기존에 다프네 섬에 살고 있었던 다른 핀치들과 부리 모양과 노래 소리가 유별나게 달랐다. 4대 후에 이 섬에 극심한 가뭄이 와서 이 새들이 다 죽고 암 수 한 마리씩 두 마리만 남게 되었다. 그런데 이들이 교배해서 태어난 새끼들은 더 이상 같은 섬에 살고 있던 다른 핀치들과는 교배를 하지 않는 고립된 그룹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PNAS, 106(48), 20141-20148, 2009). 과학자들은 생식적으로 격리된 그룹이 생길 때 그 집단을 새로운 종(species)이라고 부른다.

 

그랜트 부부는 이 전에도 잘 알려 진 과학지 사이언스(Science 313. 224 226, 2006)에 핀치새를 관찰한 논문을 기고하였다. 이 논문은 Nature지에서 진화의 순간이 포착되었다는 제목으로 기사화 되었다(2006713일 온라인판).

 

다프네 섬에는 부리가 중간인 핀치새(G. fortis)들이 살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부리가 조금 더 큰 것들은 가시가 있는 질려자(학명, Tribulus cistoides) 씨를 까 먹을 수 있었다. 그런데 1982, 이 섬에 부리가 훨씬 더 큰 다른 종의 핀치새(G. magnirostris)가 날아와 커다란 집단을 형성했다. 이 부리가 큰 핀치들은 중간 부리 핀치들보다 질려자 씨를 훨씬 더 쉽게 까 먹는다.

 

한 동안 이 두 집단은 평화롭게 살았는데 2003년과 2004년에 심한 가뭄이 들었다. 먹이가 급격하게 줄어들자 두 집단의 새 숫자도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이 때 중간 부리 핀치(G. fortis)들 중에서는 부리가 더 작은 핀치들이 더 많이 살아남았다. 그 이유는, G.fortis들 중에 부리가 큰 핀치들은, 질려자 씨를 까 먹을 때는 부리가 더 큰 G. magnirostris와 경쟁에서 밀리고, 작은 씨들을 먹을 때는 부리가 더 작은 동종 핀치들에게 밀렸기 때문이다. 결국 2004년과 2005년에는 핀치새들의 부리가 더 작아지는 쪽으로 변화 되었다고 보고 하였다.

 

진화론자들은 비슷한 종(species)이 한 가지의 자원을 놓고 경쟁하다가 다른 특징이 강조되어 다른 종으로 분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형질 대치(character displacement)’라고 부른다. 그들은 그랜트 부부가 관찰한 것이 바로 그 진화의 현상이므로 당장 교과서에 넣어야 된다고 주장하였고, 실제로 지금 생물 교과서에는 가뭄 같은 환경 변화로 핀치의 부리가 길어지기도 하고 짧아지기도 한다는 그 내용이 실려 있는데 이것을 진화의 증거로 가르치고 있다.

 

그랜트 부부가 관찰한 것들이 진화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 새로운 핀치 종(species)이 생긴 것은 유전정보가 늘어난 변화가 아니기 때문에 소진화(micro-evolution)가 아니라 변이(variation)이다. 만약 이 드라마틱한 보고서가 사실이었다면, 즉 불과 4 세대만에 생식적으로 격리 된 그룹이 형성 되었다면, 이 사실은 종 분화에 수백만 년이 필요할 것이라는 진화론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4350여년 전의 노아홍수에 이은 빙하시대 이후에 한 종류(kind)에서 생식적으로 격리된 여러 종(specie)들이 매우 빠른 속도로 생겨났을 것이라고 설명하는 창조과학자들의 주장과 일치하는 것이다. 또 만약 가뭄과 먹이 변화로 핀치새의 부리가 짧아진 변화가 사실이었다면, 이것은 이미 존재하고 있었던 부리가 짧은 쪽의 변이 품종이 많아진 자연선택일 뿐 진화와는 상관이 없다. 진화는 유전정보가 늘어나야 되는 과정인데 자연선택으로 핀치의 유전정보가 늘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8 세계관 전쟁 26/ 결론 점진적 창조는 무엇이 문제인가?(6) file honey 2014.07.22 631
357 과학자들을 놀라게 한 화석 file honey 2014.07.22 716
356 현재 분자시계의 시각은? file honey 2014.07.22 927
355 창세기 1장(12) 종류대로 창조된 식물 file honey 2014.07.22 803
354 창세기 1장(11) 바다와 뭍의 창조 file honey 2014.07.22 725
353 ACT 뉴스 2013년 12월호 file honey 2014.07.22 628
352 1억년 동떨어진 꽃 화석들 file honey 2014.07.21 853
351 창세기 1장(10) “창세기가 한 편의 시라고?” file honey 2014.07.21 657
350 창세기 1장(9) 대기와 물 file honey 2014.07.21 741
349 침팬지와 사람 염색체의 기원 file honey 2014.07.21 1064
348 ACT 뉴스 2013년 11월호 file honey 2014.07.21 675
347 창조를 증언하는 익룡연구 file honey 2014.07.21 832
» 진화 중인 핀치? file honey 2014.07.21 876
345 창세기 1장(8) 처음부터 지동설을 말하는 성경 file honey 2014.07.21 1345
344 창세기 1장(7) 낮과 밤의 창조자 file honey 2014.07.21 703
343 ACT 뉴스 2013년 10월호 file honey 2014.07.21 609
342 게놈(Genome)의 3차원 구조 file honey 2014.07.21 686
341 창세기 1장(6) 빛과 광명 file honey 2014.07.21 811
340 창세기 1장(5) 빛 file honey 2014.07.21 737
339 ACT 뉴스 2013년 9월호 file honey 2014.07.21 640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1 Next
/ 3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