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3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창세기 1(8) 처음부터 지동설을 말하는 성경

이재만, ACT뉴스 201310

 

  1.jpg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1:5)

 

태양도 없었는데 어떻게 하루를 계산할 수 있었을까요?”

 

창세기 1장이나 천문학 분야를 다룰 때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질문이다. 질문인 즉, 지구는 첫째 날 창조되었고 태양은 넷째 날 창조되었다면 첫째부터 셋째 날까지 (하루)”이 언급되었다는 것은 모순이 아니냐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이 질문을 하며 창조주간의 하루가 오늘날의 하루가 아니다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런 질문을 받을 때면 필자는 어김없이 다음과 같이 되물어본다.

 

하루는 어떻게 되어 하루가 되나요?”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기 때문이죠

 

참으로 천동설적인 대답이 아닌가? 이 시대에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돈다는 천동설을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며 하루를 만든다고 생각한다. 매일매일 움직이는 태양을 보기 때문인지 학교에서 반복적으로 배웠던 지동설 교육이 하나도 소용이 없나 보다. 하루는 태양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자전 때문에 발생한다. 그런 면에서 성경에서 지구만 가지고 하루라는 것을 사용한 것은 놀라운 일이다.

 

하나님께서 창세기 11절에 태초라고 하는 시간을 창조하셨다. 이때 시간만 창조하신 것이 아니라 시간의 단위도 창조하셨다. 첫 번째 시간의 단위가 바로 하루(day)’. 그리고 이 하루는 태양 없이 지구만 창조되었을 때 만들어졌다. 즉 처음부터 지구는 자전하도록 창조되었으며 지구만 가지고 하루라는 주기를 사용하신 것이다.

 

하나님께서 또 다른 주기를 만들었는데 바로 연한(year)’이다. 그리고 이 연한은 넷째 날 태양을 창조하셨을 때 처음 등장한다(1:14). 모든 물질은 질량이 무거운 것을 중심으로 돌게 되어있다. 태양도 행성의 질량의 비만큼 공전하는데 태양이 너무 무겁기 때문에 공전하지 않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만약 질량이 같은 두 별들이 서로 공전 관계를 갖는다면 각각 별은 서로 공전하며 공전의 중심은 두 별 사이 중앙에 존재할 것이다.

 

즉 지구가 첫째 날, 둘째 날, 셋째 날까지 세 번 자전하고 네 번째 돌 때 훨씬 무거운 태양이 창조되므로 자전과 함께 공전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이때 성경에서는 정확히 연한(year)’을 언급했다. 완벽한 순서가 아닌가!

 

코페르니쿠스 이전에 어떤 누구도 지구가 하루를 만든다고 생각해보지 못했다. 또한 지구가 자전하면서 태양 주위를 돈다고 생각해보지 못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아무도 태양계를 벗어나서 지구를 포함한 행성이 공전하는 모습을 직접 관찰하지 못했으며 겉보기에 태양이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성경은 시간의 주기가 지구의 자전과 공전을 통해서만 설명될 수 있음을 창조 때부터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창세기 1장의 기록은 시간, 그 시간의 단위, 지구, 태양, 중력 등의 모든 것을 한 번에 고려할 수 있는 창조자 외에는 감히 나올 수 없다. 마치 이 태양계와 우주 밖에서 지구와 태양과 행성 그리고 별들을 보면서 디자인하고 계신 것 같지 않은가!

 

아침을 명할 때 네가 어디 있었느냐?”

 

하나님께서 욥에게 던지신 이 질문은 참으로 의미심장하다. 이 세상엔 두 가지 종류의 사람이 있다. 한 사람은 아침이 어떻게 시작했는지 혼자 곰곰이 생각하는 사람이다. 다른 한 사람은 아침을 창조하신 분을 만난 사람이다. 위의 질문은 자신이 아침의 창조자라고 말씀하고 계신 것이다. 그 분께서 아침이 창조되는 장면을 이렇게 말씀하셨다.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우리에게는 시작이 까마득히 막연하지 않다. 오히려 아주 분명하다. 아침도 초월하신 전능자를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그 전능자를 잃어버린, 보이는 것이 전부라고 생각하는 자연주의 곧 진화론으로는 아침을 포함해서 모든 시작이 참으로 까마득해질 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8 성경 속의 생물들(14) 북극곰의 죽음 file honey 2014.07.12 1368
357 성경 속의 생물들(13) 사자 file honey 2014.07.12 810
356 성경 속의 생물들(12) 고페르 나무 file honey 2014.07.11 1955
355 성경 속의 생물들(11) 뱀 file honey 2014.07.11 719
354 성경 속의 생물들(10) 양과 소 file honey 2014.07.08 673
353 성경 속의 생물들(1) 생물 이해의 근본 창조자 하나님 file honey 2014.06.26 581
352 성경 속의 생물들 20 정결한 동물, 부정한 동물 file honey 2014.07.19 815
351 성경 속의 생물들 19 생명체의 신비, 목적률 file honey 2014.07.19 708
350 성경 속의 생물들 18 종류대로와 사람 file honey 2014.07.19 662
349 성경 속의 노아 vs. 헐리웃 속의 노아 file honey 2014.07.23 635
348 석유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file honey 2018.09.26 177
347 석기시대는 성경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나요? file honey 2014.09.12 999
346 생물학적 적응과 유전적 다양성 file honey 2014.07.18 703
345 생명체를 만든다고? file honey 2014.05.23 691
344 생명을 위한 획기적인 줄기세포 file honey 2014.05.23 566
343 새로운 천문우주 모델 시간의 팽창과 정지(6) file honey 2014.06.28 763
342 새로운 천문우주 모델 시간의 팽창과 정지(5) file honey 2014.06.27 586
341 새로운 천문우주 모델 시간의 팽창과 정지(4) file honey 2014.06.27 565
340 새로운 천문우주 모델 - 시간의 팽창과 정지(3) file honey 2014.06.25 607
339 새로운 천문우주 모델 - 시간의 팽창과 정지(2) file honey 2014.06.23 1038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1 Next
/ 3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