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신념을 믿는가 성경을 믿는가

최태현, ACT뉴스 20138

 

 

우리 모두는 신념이 있다. 그리고 그 신념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평화가 올 것이라는 신념, 부강한 나라가 될 것이라는 신념, 성공할 것이라는 신념 등. 신념이란 사람들을 뛰게 만든다.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고, 사실로 드러날지 아닐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을 더 열정적으로 만든다. 강한 신념은 더 큰 열정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신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모두 진정한 희망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설령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작은 노력 하나는 결과에 상관없이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상황이 어려워질수록 그런 작은 노력 하나는 더 의미 있어진다. 따라서 일말의 회의는 오히려 신념을 다잡게 하는 계기가 된다. 이렇게 보게 되면, 중요한 것은 세상이 정말 변할 것이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 내가 하는 일에 내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느냐 아니냐의 문제가 된다.

 

오늘날 실존주의의 시대에 교회에서도 믿음 대신 이런 신념을 흔하게 보게 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무신론이 점점 더 팽배해져가고, 선한 영향력을 잃어가는 제도화되고 경직화된 교회를 보면서, 거대한 자연재해와 악해져만 가는 세상을 보면서, 하나님의 존재를 믿기란 쉬운 것이 아니다. 여러 신학자들이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책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에 의해 쓰여진 여러 문서를 자의적으로 모아놓은 책이라고 가르치고, 무신론적 자연주의자들이 인간은 하나님의 창조물이 아니라 자연적 진화의 산물이니 창세기는 신화라고 가르치고, 종교적 선생들이 예수는 신이 아니라 위대한 한 스승이었다고 가르치는 세상에서, 성경과 그리스신화의 차이를 제대로 알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하나님께서 실재하시고 하나님의 말씀은 진리,” 즉 논리적으로 타당하고 윤리적으로 옳은 말일 뿐 아니라 사실을 알려주는 말씀이며, 우리에게 온전히 전해진 바 되었다는 것을 믿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이 자연주의적 무신론과 실존주의가 공존하는 시대에 하나님의 실재하심, 예수님의 부활하심, 성령님의 역사하심은 하나의 신념이 되었다. 하나님의 실재하심, 예수님의 부활하심, 성령님의 역사하심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에 대해 신념을 갖는다. 혹은 하나님은 실재하시고, 예수님은 부활하셨고, 성령님은 역사하시지만, 성경에 써 있는 대로는 아니고, 상식 선에서 어떤 의미에서실재하시고 어떤 의미에서부활하셨고 어떤 의미에서역사하신다고 믿는다. 하나님의 살아계심은 그래서 사실이기보다 우리끼리의 약속이 된다. 우리는 하나님이 살아계신 것처럼이야기하고 행동하기로 한 것이다.

 

이러한 신념은 겉으로 보기에는 강력할지 모른다. 그런데, 거기에는 근본적 불안함이 있다. 하나님이 살아계신 것이 우리에게 에너지를 주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살아계시다고 믿는 우리의 신념,” 그 불완전한 심리적 다짐이 우리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언젠가 고갈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절대자가 아닌 상한 갈대 같고 흔들리는 촛불 같은 우리 자신을 믿음의 근원으로 삼으라는 세상에 우리는 던져졌다. 하나님은 살아계신 창조주가 아니라 우리의 신념, 매일 흔들리지 않기로 다짐을 하고, 서로 약속을 하고, 누구보다 열심히 추구하는 나의 신념의 대상은 아닌가. 성경이 진리의 말씀임을 알고 우리 믿음의 근원을 우리 자신으로부터 성경으로 다시 옮기지 못하면 우리는 진지한 신앙생활을 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진정한 확신의 기쁨을 얻지는 못할 것이다. 이것은 믿음의 강도의 문제가 아니라 믿음의 근원의 문제이다. 예수님은 인자가 올 때에 세상에서 믿음을 보겠느냐(누가복음 18:8)”고 한탄하셨다. 그리고 우리 각자에게 물으신다. “이것을 네가 믿느냐(요한복음 11: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8 사회적 진화론(Social Evolutionism) 9 자본주의(1) - 이재만회장 file honey 2019.04.27 318
437 교과서와 기원문제 시리즈(3) 밀러의 실험은 생명의 자연발생을 입증하나? file honey 2016.10.14 343
436 판의 이동 속도 file honey 2016.10.11 391
435 우주의 건축, 시간+공간+물질의 창조(창 1:1) - 이재만회장, 이동용박사 file honey 2019.04.27 394
434 Creation Worldview 6 하나님을 잃어버린 이후: 인간의 길, 끊어진 길 file honey 2014.06.29 469
433 Creation Worldview 5 창조주를 아는 지식 file honey 2014.06.28 470
432 Creation Worldview 4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이다 honey 2014.06.27 484
431 식물에 관하여 file honey 2015.01.17 505
430 미국의 1980년대 vs. 한국의 2010년대 file honey 2014.06.27 508
429 별을 정말 보셨나요? file honey 2014.06.10 515
428 창조, 종류대로(3) 최초의 생명체들 file honey 2015.01.17 518
427 이미 떠나버렸다(3) 무의미로 내달린 길 file honey 2014.06.06 519
426 ACT 뉴스 2015년 2월호 file honey 2016.02.01 522
425 ACT 뉴스 2014년 11월호 file honey 2015.01.17 537
424 ACT 뉴스 2011년 11월호 file honey 2014.07.02 542
423 사회진화론자들의 전제 file honey 2014.06.02 550
422 Creation Worldview 7 내가 주인된 세계 file honey 2014.06.29 550
421 다윈의 첫 번째 실수 file honey 2014.06.02 552
420 방주의 지적설계 file honey 2014.07.19 552
419 세계관 전쟁 23 점진적 창조는 무엇이 문제인가?(3) file honey 2014.07.19 553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1 Next
/ 3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