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진짜 문제는 컨텐츠가 아닌

김무현, ACT뉴스 20119

 

  1.jpg

 

창조론자와 진화론자의 토론 대결이 있을 때, 진화론자들이 컨텐츠(contents)와 설득력에서 밀릴 때마다 흔히 내세우는 것 중의 하나가 진화론자들의 논문은 과학 학술지에 계속 게재되고 있지만 창조론에 관한 논문은 전무하다. 그러니 창조과학은 종교단체나 아마츄어들 사이에서나 이슈가 되는 것이고 전문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논의조차 되지 못하는 사이비 이론에 불과하다라는 주장이다. 3자가 그 말을 듣게 되면 진화론은 전문 과학자들 사이에서 충분히 검증된 이론이지만 창조론은 그 내용의 오류들 때문에 검증과정에서 거부(reject)된 것이구나라고 받아들이게 된다.

 

그렇다면 왜 창조론 논문은 기존의 일반적인 과학 저널에 실리지 못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바른 대답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증과학(operational science)과 유사과학(pseudo science)에 대한 확실한 구분이 필요하다. 실증과학은 자연계에서 관찰 가능하고 실험실 등에서 재현 가능한 과학을 말한다. 하지만, 진화론은 이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 진화론은 자연계에서 관찰 가능 하지도 않고 실험실에서 검증가능 하지도 못하다. 그래서 진화론은 실증과학이 아닌 유사과학에 속한다. 이런 점에서 창조과학도 동일하다.

 

그런데 문제는 그 진화론이 일반대중에게는 실증과학으로 여겨진다는 것이다. 그 주된 이유는 진화론에 근거하여 해석된 논문들이 과학저널에 계속해서 실리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현재 과학의 패러다임(사고의 틀)이 오직 진화론/자연주의(naturalism)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똑 같은 수준의 실증과학의 연구를 했다 치더라도 그것을 창조론적이나 지적설계론적으로 해석을 해서는 현 과학저널의 리뷰과정을 통과할 수 없다는 게 문제이다. 예를 들어 어느 창조과학자가 유전자에 관한 높은 수준의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기전을 발견했다고 치자. 그 연구에 근거하여 논문을 작성했는데 마지막 해석/결론 부분에 그러한 신묘막측한 구조와 기능이 우연히 저절로 생겼다고 보기는 어렵고 오히려 초월자의 창조나 지적설계로 여겨진다라는 해석이 첨부되었다면 과연 그 논문의 리뷰 과정에 어떤 일이 발생할까?

 

여기서 잠깐 현 시대의 과학의 헌법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진화론자들의 저서에서도 천명되었듯이 과학의 제 1헌법(누구나 반드시 지켜야 하는 제 1법칙)오로지 물질적(materialistic)/자연적(naturalistic) 원인에 의해 이 우주가 어떠한 법칙으로 생성되어 움직이는지를 어느 정도까지 설명할 수 있겠는가?”라는 것이다. 즉 모든 것이 반드시 자연주의적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만일 이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과학논문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는 것이다. , 과학자들의 게임의 룰에 의하면 초자연적인 초월자나 지적설계같은 내용은 언급조차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그런 내용들은 종교나 철학에서 다룰 내용이지 과학에서는 절대로 수용불

가라는 것이다.

 

현재 미국의 거의 모든 과학교육 지침서 첫 페이지에 과학의 정의가 과학은 우주와 생명에 관한 자연주의적(naturalistic) 연구와 해석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수년 전 캔사스 주의 교육위원회에서 이 과학의 정의를 좀 더 포괄적으로 과학은 우주와 생명에 관한 논리적(logical) 연구와 해석이라고 수정하였다가 진화론 과학자들의 반발과 위협으로 다시 원래대로 복구 된 적이 있다. 진화론자들에게 왜 그 자연주의적이라는 단어가 그토록 중요했을까? 그 이유는 만일 논리적 해석이라는 정의를 수용하게 되면, 지적설계 등의 해석의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열리기 때문에 반드시 자연주의적(=진화론 적) 해석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 어떤 현상도 결과도 반드시 자연주의적으로만 해석되어야지 그 외에는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중세 카톨릭 교회가 고수하던 그 무서운 편협성의 오류를 지금은 진화론 패러다임의 과학계가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것이다.

 

, 여기서 다시 창조과학자의 그 수준 높은 유전자 연구논문 얘기로 돌아가 보자. 그 논문의 심사위원들은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다. “그 논문의 실증 가능한 부분은 훌륭한 연구이고 출판 가능하다. 하지만 그 해석 부분은 수용불가이다. 왜 저자는 과학논문에서 종교적인 해석을 하고 있는가? 종교적 내용은 과학저널에 절대 수용불가이다. 그 해석 부분을 빼든지, 자연주의적 해석으로 수정하지 않으면 논문게재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정이 되지 않으면 그 논문은 출판되지 못하고 사장되어 버린다. 그 해석 부분을 빼 버리면 그 논문은 게재가 가능하나 어떠한 해석도 하지 않았으므로 창조론 논문도 아니요 진화론 논문도 아닌 일반 논문으로 여겨지게 된다. 상황이 이렇기 때문에 기존의 일반적 과학저널에 창조론 논문이 없을 수밖에 없다. 창조론 과학자가 창조나 지적설계의 배경 신념으로 연구하고 해석했지만 결국은 일반논문으로 처리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창조론자가 실력이 모자라거나 그 내용에 오류가 있어서 창조론 연구논문이 없는 것이 아니라 현 과학계의 rule of the game때문이다. 진화론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교묘하게 악용하여 토론대결에서 논리적으로 열세에 몰릴 때마다 그러한 유치한 무기와 주장을 되풀이 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교회의 소명은 무엇일까? 교회와 학부모들은 위의 캔사스 주에서와 같은 과학의 포괄적 정의가 현 교육계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시민운동을 펼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모든 지역 교회가 먼저 진리인 하나님의 말씀을 바로 가르치는 것이다. 이 과정 없이는 어떤 시민운동도 성공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교회는 이 세상의 마지막 희망의 터다. “터가 무너지면 의인이 무엇을 할꼬”(시편 1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8 동성애(Homosexuality) 시리즈(4) 이들의 열매는? file honey 2014.07.15 701
237 10가지 질문 시리즈 9-10 고통과 죽음 그리고 복음 file honey 2014.06.19 702
236 세계관 전쟁 17 / 빅뱅은 성경적인가? (2) 행방불명의 빅뱅 초기별(POP. III)들 file honey 2014.07.11 703
235 생물학적 적응과 유전적 다양성 file honey 2014.07.18 703
234 창세기 1장(7) 낮과 밤의 창조자 file honey 2014.07.21 703
233 ACT 뉴스 2014년 6월호 file honey 2014.07.24 703
232 과학의 이해 6 틈새의 하나님 file honey 2014.06.17 706
231 빙하시대 시리즈(11) 바벨탑 - 빙하시대가 일어난 이유(2) file honey 2014.06.17 707
230 ACT 뉴스 2009년 9월호 file honey 2014.06.06 708
229 성경 속의 생물들 19 생명체의 신비, 목적률 file honey 2014.07.19 708
228 다윈주의에서 신다윈주의까지 file honey 2014.06.03 709
227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공룡화석 file honey 2015.01.17 710
226 Q&A 시리즈(3) 암석의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 file honey 2014.07.24 711
225 ACT 뉴스 2009년 11월호 file honey 2014.06.06 712
224 닭이 먼저? 달걀이 먼저? 시작은 달랐다. file honey 2014.06.28 713
223 교과서에 들어있는 진화론(6) 밀러의 실험 file honey 2014.06.29 713
222 ACT 뉴스 2010년 12월호 file honey 2014.06.17 715
221 창세기 하루가 지금의 하루와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면 주어지는 특권(1) file honey 2014.06.12 716
220 과학자들을 놀라게 한 화석 file honey 2014.07.22 716
219 이 땅에 오신 창조주 하나님 file honey 2014.07.05 717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1 Next
/ 3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