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새로운 천문우주 모델 시간의 팽창과 정지(4)

이동용, ACT뉴스 20115

 

  1.jpg

 

Dr. Russell Humphreys Dr. Vardiman은 지난 칼럼들에서 별들이 창조된 지 겨우 수천년 지났다면 어떻게 수백만 광년 떨어진 별빛들을 볼 수 있을지를 설명하는 새 창조론자의 우주론의 기초적인 것을 설명하였다.(1, 2)

 

이번 칼럼에서는 하늘이 펼쳐지는 효과들을 지구와, 우주시간과, 공간에서의 위치 면에서 좀 더 구체적인 그림들을 사용해서 Humphreys의 우주론의 의미를 설명하게 될 것이다.

 

하늘이 펼쳐질 때의 효과

그림 1은 지구시간과 우주시간의 그래프인데 지구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를 보여 준다. 그림에서 왼쪽의 수직축은 수천년의 지구시간을 그리고 우측의 수직축은 수십억년의 우주 시간을 표시한다. 우주시간은 빛이 공간의 펼침이나 기타 우주적 조정 없이 지구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정의한다. 공간을 통과하는 거리는 수평축에 광년으로 주어진다.(1광년은 초당 186,000 마일의 속도로 빛이 일년 이동하는 거리로 약 5.87X1012 마일의 거리이다.)

 

빛이 태양에서 지구에 도달하는 시간은 불과 8 분이지만,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알파 센토리)까지의 거리는 4 광년 이상이다. 허블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물체는 약 130억 광년 떨어져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그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우주시간은 약 130억 년이다. 그러나, 험프리의 새로운 모델에 의하면 지구에서 관측하는 지구시간은 상당히 짧을 수 있다는 것이다.

 

  2.jpg

 

잠시 그림 1의 윗부분을 무시하고 보면, 그림 가운데 있는 큰 삼각형 내부는 하나님이 은하들을 창조하시고 공간을 펼치시는 동안에 넓어진 무시간영역을 보여준다. 지난 칼럼에서는 하나님은 무시간 영역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요소(시간-공간-물질)를 디자인하셨거나 조정하셔서 무시간 영역의 표면 가장자리의 팽창 속도와 빛 속도를 정확하게 같게 하실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무시간 영역의 팽창 속도를 일정하게 하려고 다른 두 가지 요소를 일정한 값으로 가정을 하였었다. 그리고 확장 속도를 빛 속도와 똑같이 하면 무시간 영역은 빗방울의 물결처럼 점점 멀리 창조되는 은하(wave of galaxy creation) 바로 뒤를 빛의 속도로 따르게 된다(그림 1의 아래 점선). 무시간 영역이 확장되면 새로 만들어진 은하가 무시간 영역 안에 들어오게 되고 그 은하들에서는 시간이 멈추게 된다. 그림 1에서 무시간 영역의 궤적을 보여 주는 점선으로 된 직선은 그래프의 (0,0)에서 우측상부인 (15,15)으로 향하게 된다. 여기서 (15,15)150억 광년거리와 150억 년의 우주시간을 의미한다.

 

창조의 물결이 그쳤을 때 하나님이 궁창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임계 포텐셜 선(지난 칼럼의 그림에 있는 수평선으로 그 선 아래가 무시간 영역)을 아래로 내렸다고 가정해 보자. 그렇게 되면 무시간 영역의 반경이 줄어들게 된다. 또다시 하나님께서 3 가지 요소들을 조정하여 무시간 영역이 빛의 속도로 축소되게 하셨다고 상상을 해 보자(그림 1의 위 점선). 무시간 영역이 줄어들면서 각 은하들이 나타나게 되었고, 각 은하에서 발산하기 시작한 빛은 우주의 중심 쪽으로 비추게 될 것이다. 축소되는 무시간 영역의 직경이 줄어드는 속도가 빛 속도와 같기 때문에 중심으로 향하는 빛은 그 무시간 영역이 줄어드는 바로 그 뒤를 따라 갈 것이다.

 

무시간 영역의 반경이 0에 도달하여 무시간 영역이 사라졌을 때 지구가 무시간 영역에서 드러났고 동시에 무시간 영역을 따르던 빛은 수십억 광년 먼 거리에서 출발한 빛일지라도 지구에 즉시 도착한 것이다. 그 빛이 수십억 광년 멀리 떨어진 은하에서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지구에 도착한 것이다. 이 때 공간의 장막은 그 빛의 궤적을 따라 계속적으로 펼쳐졌기 때문에 그 빛의 파장이 늘어지는 적색편이가 일어나게 되었을 것이다. 이 기간 동안의 무시간 영역을 그려 보면 그래프의 오른쪽 중간의 (15, 15)[우주시간]에서 좌측 위쪽인 (0,30)[우주시간]으로 움직였다.

 

무시간 영역 안의 창조 4일째 동안 공간에 은하들이 창조되어 나선모양의 소용돌이를 쳤을 것이고, 많은 양의 방사성 붕괴가 일어났을 것이며, 빛은 공간 먼 거리에 있는 곳으로부터 여행을 했을 것이다. 지구에서는, 이런 일련의 사건들이 일어나는 동안 시간이 정지해 있었을 것이. (계속)

 

번역정리 / 이동용 박사 항공기계공학

출처: ACTS & FACTS 20112월호

참고문헌 / -Humphreys, D.R. 2008, New time dilation helps creation cosmology, Journal of

Creation, 22(3): 84-92 -Humphreys, D.R. 1994, Starlight and Time, Green Forest, AR: Master Books, 6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8 교과서와 기원문제 시리즈(2) 실험으로 확증된 생물속생설 file honey 2016.10.11 282
217 교과서와 기원문제 시리즈(1) 실험과학과 역사과학 file honey 2016.10.11 123
216 교과서에 들어있는 진화론(8) 구조가 비슷하다고 진화의 증거인가? file honey 2014.07.05 831
215 교과서에 들어있는 진화론(7) 진화나무에서 창조과수원으로 file honey 2014.07.02 962
214 교과서에 들어있는 진화론(6) 밀러의 실험 file honey 2014.06.29 713
213 교과서에 들어있는 진화론(5) 시조새 file honey 2014.06.29 944
212 교과서에 들어있는 진화론(3) 후추나방과 자연선택 file honey 2014.06.28 721
211 교과서에 들어있는 진화론(2) 엄마 뱃속에 있을 때는 동물과 닮았다고? file honey 2014.06.27 739
210 교과서에 들어있는 진화론(1) 교과서의 속성과 다윈의 핀치새 file honey 2014.06.26 683
209 교과서 속의 진화론(4) 말 화석 file honey 2014.06.28 1232
208 과학자들을 놀라게 한 화석 file honey 2014.07.22 716
207 과학의 이해 9 진화, 한 이름, 많은 의미 file honey 2014.06.27 642
206 과학의 이해 7 자연, 자연주의, 성경 file honey 2014.06.19 632
205 과학의 이해 6 틈새의 하나님 file honey 2014.06.17 706
204 과학의 이해 5 우리는 깨달아 아는가? file honey 2014.06.17 590
203 과학의 이해 4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과학이 발견하는 신 file honey 2014.06.14 734
202 과학의 이해 3 패러다임: 과학에 대한 절대적 신뢰에 울리는 경종 file honey 2014.06.12 762
201 과학의 이해 2 과거에 대한 연구를 어떻게 평가할까 file honey 2014.06.12 627
200 과학의 이해 1 창조와 진화: 같은 사실, 다른 해석, 그리고 믿음 file honey 2014.06.11 755
199 과학 교육의 변화를 지지하는 루지애나 국회 honey 2014.05.26 743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31 Next
/ 3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