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현대 교회의 최소한의 요구

최우성, ACT뉴스 20103

 

  1.jpg

 

과학자 리비히(Liebig)가 발견한 최소량의 법칙이란 것이 있다. 이 법칙은 한 생물체가 성장하는 데는 여러 가지 영양소가 필요한데, 그 중에 단 한 가지가 부족하면 다른 모든 영양소가 충분히 있어도 그 한 가지 부족한 것 때문에 자랄 수 없다는 법칙이다.

 

지금 생명체인 교회에서 그 최소량은 무엇일까? 성경에 기록된 창조와 역사를 바로 알고 믿는 일이다. 지난 Creation Truth이미 떠나버렸다시리즈로 4 회에 걸쳐 소개한 것처럼, 진화론은 창조와 실제 역사를 왜곡하여 교회가 복음을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고 필요도 느낄 수 없도록 만들어 유럽과 일본 교회를 비워버렸고, 미국 교회를 비우고 있고, 한국 교회도 그 조짐을 보이고 있다. 복음은 인류의 기원, 동물과 식물들의 기원, 지구와 해와 별들의 기원, 지층과 화석의 기원, 그리고 죄와 타락 등, 현실적인 실체들에 대한 사실적인 이해가 없으면 정말로 이해하기 어려운데 진화론은 그 사실들을 왜곡해 버렸다.

 

내가 땅의 일을 말하여도 너희가 믿지 아니하거든 하물며 하늘의 일을 말하면 어떻게 믿겠느냐?”라고 질문하신 예수님의 말씀은 정확하게 지금 우리 교회의 필요(성경대로 이 땅에서 일어난 일들을 믿는 것)를 지적하시는 것 같다. 이 시대는 교회의 최소한의 요구(필요)를 증대시킬 수 있는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 ACT 뉴스 2016년 3월호 file honey 2016.10.16 142
137 유신론적 진화론8 유신론적 진화론의 시작은 file honey 2016.10.16 261
136 ACT 뉴스 2016년 4월호 file honey 2018.01.31 67
135 힘의 정체는 무엇일까? file honey 2018.01.31 82
134 마리아의 남편 요셉의 아버지가 둘인가? honey 2018.01.31 70
133 크건 작건 설치류는 언제나 설치류였다 file honey 2018.01.31 96
132 교과서와 기원문제(8) 원핵세포가 진화해서 진핵세포가 되었다? file honey 2018.01.31 84
131 ACT뉴스 2016년 5월호 file honey 2018.01.31 68
130 유신론적 진화론9 하나님의 성품과 타협이론 file honey 2018.01.31 90
129 무(無)로부터 나온 우주?(1) file honey 2018.01.31 73
128 교과서와 기원문제(9) 생물 ‘종’의 구분은 서로 간의 ‘유연관계’를 말해주는가? file honey 2018.01.31 138
127 ACT 뉴스 2016년 6월호 file honey 2018.01.31 68
126 유신론적 진화론 10 확률과 우연이 하나님과 어울릴까? file honey 2018.01.31 93
125 무(無)로부터 나온 우주?(2) file honey 2018.01.31 76
124 교과서와 기원문제(10) 우주의 나이 137억년은 측정된 것인가, 아니면 정해진 것인가? file honey 2018.01.31 86
123 ACT 뉴스 2016년 7월호 file honey 2018.02.01 69
122 유신론적 진화론 11 창세기는 역사를 서술한 것이지 히브리 시가 아니다. file honey 2018.02.01 75
121 600 세대가 지난 후에도 초파리의 진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file honey 2018.02.01 84
120 교과서와 기원문제(11) 빅뱅은 무가 유가 되는 기적 file honey 2018.02.01 79
119 ACT 뉴스 2016년 8월호 file honey 2018.02.01 70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31 Next
/ 3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