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세계관 전쟁 3 자연현상으로 생명의 기원을 설명 할 수 있을까?(2)

ACT뉴스 20098

   

  

자연현상에 의한 생명 발생이 과학적인 증거와 모순되므로 밀러는 비현실적인 초기 조건(무산소와 엄청난 양의 에너지 공급)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 이론에 대해 할 말이 더 있다. 아미노산을 만드는 일이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다. 진짜 어려운 일은 올바른 형태의 아미노산으로 올바른 복합체를 만드는 것이다. 2000가지 이상의 아미노산이 있는데 단지 생명에 필요한 것은 20가지 밖에 되지 않는다. 더욱이 각 아미노산을 형성하는 원자들은 두 가지의 기본형태로 모양을 만들고 있다. 이것이 왼손형과 오른손형이라는 말이다. 사람의 손과 비교해 보자. 각 손마다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네 손가락과 엄지), 그러나 손은 서로 다르다. 한 손의 엄지는 오른 쪽에 있고 다른 손의 엄지는 왼쪽에 있다. 이 두 손은 거울에 비친 모습이다. 우리 손처럼 아미노산도 두 가지 형이 존재한다. 똑같은 원자들(구성물질)로 되어 있으나 서로가 거울로 비친 이미지다, 결국 왼손형과 오른손형의 아미노산이다. 좌우형이 있는 물질은 카이럴(Chiral)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희랍어의 (hand)이라는 단어에서 나왔다.

 

  1.jpg

 

생명체에 있는 단백질의 모든 아미노산은 100% 왼손형 아미노산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좌우형이 있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어느 단백질에 단 하나의 오른손형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면 그 단백질의 기능은 완전히 상실 되고 말 것이다. 어느 화학박사가 말하기를 생명체의 많은 화학 물질들은 두 가지 모양 즉, 왼손형과 오른손형으로 되어 있다. 생명은 모든 동일한 모양(단일형)의 기본 구조 단위의 복합체이다 - 단백질은 왼손형 아미노산으로만 되어있다.... 그러나 마치 가상적인 원시 수프경우처럼 아무 장치가 없는 방치상태의 화학반응은 좌우형이 각각 반반씩 섞인 라세미(racemates) 상태를 만들 것이다.(1)

 

기초 화학 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인정한다.

 

아주 놀라운 사실은... . 동물이나 고등 식물이나 박테리아, 이끼, 심지어 바이러스로부터 채취 된 단백질을 연구해 본 결과 이들이 모두 L-(왼손형)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2)

 

많은 교과서나 잡지에서 느끼는 공통된 인상은 밀러와 다른 과학자들이 생명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만드는데 성공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교과서나 대중매체는 과학자들이 만들어 낸 것은 생명이 생기기에는 결정적으로 장애가 되는 좌우형의 혼합체라는 것을 지적하지 못하고 있다. 좌우형 아미노산이 서로 결합하는 것은 일반적인 성향이다. 과학자들은 아직도 왜 생물학적인 단백질은 모두 왼손형 아미노산으로만 되어 있는지를 모른다. (오직 왼손형 아미노산만) 선택된다는 이유도 불가사의이고 계속되는 논쟁의 주제다.(3)

 

발달생물학자인 죠나단 웰즈는 말하기를, 생명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도 전혀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러-유레이 실험은 계속 진화론의 아이콘으로 되어 있는데 이유인즉 더 이상 좋은 이론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진실을 듣고 있기보다는 과학자들이 생명근원의 첫 발 걸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해 낸 것 같은 잘못된 인상을 조장 하고 있다.(4)

 

  2.jpg

 

밀러의 실험은 생명의 기본단위(왼손형 아미노산만)를 만드는데 성공을 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서는 여전히 생명이 자연 발생한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생물학 교과서에 쓰인 다음과 같은 말은 밀러가 실험에 성공한 것 같은 잘못 된 인상을 학생들에게 주게 된다.

 

초기 대기권(암모니아, , 산소, 메탄 가스)을 재생하여 전기방전(번개)을 그 혼합물에 통과시킴으로 밀러와 유레이는 아미노산같은 유기물질이 자연적으로 생성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 했다.(5)

 

첫째로, 증명했다는 표현을 보라. 밀러와 유레이는 생명의 기본 단위는 그런 조건에서 만들어 질 수 없다는 것 밖에는 증명한 것이 아무 것도 없다. 둘째로, 교과서는 대기권에는 산소가 항상 있었다는 다른 증거를 전혀 무시하고 있다. 셋째로, 교과서는 밀러가 잘못된 아미노산(좌우형의 혼합물)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무시하고 있다.

 

밀러의 실험(그리고 그 후의 모든 실험도)은 단 하나의 생물학적인 단백질도 만들어 내지 못했다. 하나님만 생명을 시작할 수 있다.

 

출처 : War of the Worldviews (2005), Answers in Genesis

* 이 책의 다른 부분은 www.HisArk.com 세계관 전쟁 아이콘을 클릭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1. Sarfati, J., In Six Days, p. 82, 2000.

2. Pauling, L., General Chemistry, Third Edition, p. 774, 1970.

3. Shapiro, R., Origins, p. 86, 1986.

4. Wells, J., Icons of Evolution, p. 24, 2000.

5. Miller, K., and Levine, J., Biology, 20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8 세계관 전쟁 14 성경이 천문학에 관해서도 말하고 있는가?(2) 우주의 팽창과 나이 file honey 2014.07.05 699
237 세계관 전쟁 15/ 성경이 천문학에 관해서도 말하고 있는가?(3) 젊은 우주의 증거들 file honey 2014.07.05 789
236 세계관 전쟁 16 / 빅뱅은 성경적인가? (1) 빅뱅이론의 과학적 문제점 file honey 2014.07.11 902
235 세계관 전쟁 17 / 빅뱅은 성경적인가? (2) 행방불명의 빅뱅 초기별(POP. III)들 file honey 2014.07.11 703
234 세계관 전쟁 18 수백만 년이라는 생각은 어디서 온 것일까?(1) file honey 2014.07.12 661
233 세계관 전쟁 18 수백만 년이라는 생각은 어디서 온 것일까?(2) file honey 2014.07.12 621
232 세계관 전쟁 19/ 수백만년이라는 생각은 어디서 온 것일까(3) 불필요한 타협 file honey 2014.07.12 590
231 세계관 전쟁 2 자연현상으로 생명의 기원을 설명 할 수 있을까? file honey 2014.06.04 776
230 세계관 전쟁 20/수백만년이라는 생각은 어디서 온 것일까(4) 타협의 불행한 결과 file honey 2014.07.18 612
229 세계관 전쟁 21 점진적 창조는 무엇이 문제인가?(1) file honey 2014.07.18 583
228 세계관 전쟁 22 점진적 창조는 무엇이 문제인가?(2) file honey 2014.07.19 651
227 세계관 전쟁 23 점진적 창조는 무엇이 문제인가?(3) file honey 2014.07.19 553
226 세계관 전쟁 24 점진적 창조는 무엇이 문제인가?(4) file honey 2014.07.19 629
225 세계관 전쟁 25 점진적 창조는 무엇이 문제인가?(5) file honey 2014.07.20 607
224 세계관 전쟁 26/ 결론 점진적 창조는 무엇이 문제인가?(6) file honey 2014.07.22 631
» 세계관 전쟁 3 자연현상으로 생명의 기원을 설명 할 수 있을까?(2) file honey 2014.06.05 695
222 세계관 전쟁 4 자연현상으로 생명의 기원을 설명 할 수 있을까?(3) file honey 2014.06.06 578
221 세계관 전쟁 5 돌연변이가 진화의 동력인가?(1) honey 2014.06.06 584
220 세계관 전쟁 7 돌연변이가 진화의 동력인가?(3) 돌연변이에 대한 진화론과 성경의 견해 file honey 2014.06.07 784
219 세계관 전쟁 8 사람: 꼬리없는원숭이에서 진화된 동물인가?(1) file honey 2014.06.07 739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1 Next
/ 3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