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요세미티 국립공원의 빙하 연구

ACT뉴스 20084

Larry Vardiman, 대기과학 박사, ICR 대기학과 교수/ ICR 연구 책임자

출처: ACTs & FACTs, March 2008

 

 

  5.jpg

 

 

한때는 빙하가 요세미티 계곡을 Half Dome(그림) 꼭대기까지 그리고 Tuolumne MeadowsSierra Nevada의 거의 정상에 있는 Tioga Pass까지 펼쳐 있었다(지도). 지금은 화강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는데 대규모 빙하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마모시켜 놓은 증거로 빙하의 존재가 사실이란 것과 움직인 방향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빙하가 창세기 홍수 후에 생겼다면 어떻게 생겼고 왜 없어졌을까?

 

 

  6.jpg

 

한 가지 설명은 4,500여 년 전에 끝났던 노아홍수 결과 어떤 곳은 대양의 온도가 120°F(48.9)까지 올라가 다량의 증발을 유발시켰다. 이 습기는 바람으로 모아져 대륙들에 폭설이 내리게 했을 것이다. 캘리포니아의 Sierra Nevada 산맥은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공기 흐름에 대해 남북으로 수직 벽을 만들고 있다. 여기에서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공기는 높고 차가운 고도에서 많은 양의 눈을 내린다. 빙하기에는 남단이 미국의 북쪽 경계에 위치하는 강한 제트기류가 미 남서부를 지나게 되므로 강설량을 크게 증대시켰을 것이다. 습기 있는 공기를 요세미티 국립공원 위에 밀고 간 이 강한 바람은 빙하를 만들었을 것이다. 2~3천년 전 대양의 온도가 내려가자 강설량은 줄었을 것이고 빙하는 녹게 되었을 것이다.

 

요즘 요세미티 국립공원에는 겨울에만 눈이 내리고 여름이면 완전히 녹아버린다. 캘리포니아 해안 태평양의 수온이 노아홍수 후에 약 120°F에서 겨울철 평균 온도 60°F(15.5)로 떨어짐으로써 빙하기가 끝나게 되었다. 엘니뇨 현상으로 대양 표면 수온이 1-3°F 오를 때가 있다. 이런 온도 상승은 폭풍우나 강설량을 증가시키지만 이런 날씨는 불과 1-2년 정도 지속되기 때문에 영구 빙하를 만들기에 충분한 눈을 만들지 않는다.

 

노아홍수의 기상효과 연구를 위해 연구용 컴퓨터에 MM5라는 날씨와 기후모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였고 요세미티 국립공원에 눈이 많이 내려 빙하를 만들 수 있는 조건을 시뮬레이션 하려고 한다. 태평양 해수면 온도 변화에 따라 눈의 양과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게 되는데 특히 대체적으로 따뜻한 해수 표면 조건에서 단기간의 추위의 영향을 알게 될 것이다.

 

  7.jpg

 

한 가지 목표는 빙하기 말기에 단기간 동안만 추웠을 때 빙하의 분포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빙하가 녹은 차가운 물이 대양에 흘러들자 해수 표면 온도를 내렸을 것이고 결국 증발량을 감소시켜 미국 동부나 유럽의 갑작스런 기후변화(Younger Dryas event, 세속 과학자들이 12,000여년 전의 갑작스런 기후변화로 설명함, 그림 참고)같은 요세미티의 빙하 변동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20088월의 창조론 국제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ism)에 발표할 예정이다. 우리들은 과학을 통해서 우리 창조자께서 하신 일들을 계속해서 배우게 된다. 우박을 떡 부스러기 같이 뿌리시나니 누가 능히 그의 추위를 감당하리요. 그의 말씀을 보내사 그것들을 녹이시고 바람을 불게 하신즉 물이 흐르는도다(시편 147: 17-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8 창조주에 대한 불쾌감 file honey 2018.09.07 32
577 창조와 진화 논쟁 file honey 2014.07.23 681
576 창조연구의 열쇠 file honey 2014.05.23 931
575 창조에 관한 두개의 다른 기록? file honey 2016.10.14 144
574 창조를 증언하는 익룡연구 file honey 2014.07.21 832
573 창조론자는 이상한 것들을 믿는 사람들인가? file honey 2018.02.01 71
572 창조론 - 초과학 file honey 2014.05.23 1102
571 창조과학과 청소년들을 향한 책임 honey 2014.06.03 660
570 창조과학: 성경과 사랑에 빠지기 file honey 2014.07.18 652
569 창조과학 탐사여행–EM 사역 리뷰 file honey 2014.07.18 667
568 창조과학 연구 보고서 멘델의 회계사 file honey 2014.05.28 731
567 창조, 종류대로(5) C–Value Paradox file honey 2015.01.17 645
566 창조, 종류대로(4) 교배의 한계 file honey 2015.01.17 919
565 창조, 종류대로(3) 최초의 생명체들 file honey 2015.01.17 518
564 창조, 종류대로(2) 식물 file honey 2014.09.12 1003
563 창조, 종류대로(1) 린네와 레이 file honey 2014.09.12 1014
562 창조, 생물학의 기초(4) DNA가 먼저, 단백질이 먼저? file honey 2014.08.04 1017
561 창조, 생물학의 기초(3) 세포막–최첨단 성벽 file honey 2014.07.24 1121
560 창조, 생물학의 기초(2) 세포는 창조 기적의 산물 file honey 2014.07.23 660
559 창조, 생물학의 기초(1) 창조과학자 파스퇴르 file honey 2014.07.23 76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1 Next
/ 31
CLOSE